트럼프에 관세에 충성하는 교활한 언론들

최근 한국 언론의 논조를 보면 이들이 트럼프의 대변자라는 생각이 든다. 특히 '국산차 가격 경쟁력' 보도는 중요한 맥락을 제외한 채 단순 비교만으로 공포를 조장한다. 차라리 아무 보도도 없는 게 더 좋은 판단 지표를 제공하는 수준의 왜곡 보도다. 진정한 관세 문제점을 제기하려면, 현대차의 글로벌 구조·원가·임금·정치적 배경까지 모두 보여줘야 한다.

작성: bookdu net · 날짜: 2025-09-29

한 방송사의 전형적인 보도 흐름을 보자. 화면에는 부두에 정박한 컨테이너선과 자동차들이 등장하고, 자막에는 "일본·유럽도 자동차 관세 15% 인하"라는 문구가 흐른다. 이어진 내레이션은 이렇게 말한다:
"국산차는 상대적으로 불리해졌습니다."

곧 도표가 등장한다. 제네시스 G80(현행가 57,100달러)이 한국에서 25% 관세가 붙으면 71,375달러가 되고, 이는 15% 관세를 적용받는 메르세데스-벤츠 E350(7만 1,817달러)과 비슷하다는 설명이다. 기사의 주장은 "현대차의 저가 이미지 유지가 어렵다."는 내용이다.

컨테이너 선적 장면(예시)
방송이 자주 사용하는 시각 자료(예시). 실제 데이터는 더 복합적이다.

마지막으로 전문가 의견이라며 국책연구기관 책임자를 인터뷰해 "관세가 15%로 내려가기 전까지는 가격 경쟁력에서 열세"라는 멘트를 받는다. 이런 보도를 본 국민들은 트럼프가 강요하는 3,500억 달러를 내지 않으면 나라가 큰일 날 것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. 중요한 맥락을 여러 군데 삭제한 덕분이다.

무엇이 빠졌는가 — 보도에서 반드시 다뤄야 할 항목들

1. 정확한 주체 표기: ‘국산차’가 아니라 ‘현대차’

언론은 반복해서 '국산차'라는 단어를 사용하지만, 2025년 현대차의 외국인 지분율은 약 35~43%이고, 현대차의 상당수는 해외에서 생산된 차량이다. 사정이 이런데 '국산차'라는 호칭은 소비자에게 현대차가 한국 경제 전체를 대표한다고 오해하게 만든다. 더구나 우리는 현대차 해외 생산분 중 얼만큼의 비율이 국내에서 판매되는지 여부도 확실히 알지 못하는데 말이다.

만약 해외 생산분 차량의 국내 판매 비율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라면, 3,500억 달러를 미국에 투입하는 게 황당한 '바보 짓'이 아닐 수 없다. 결국 지금 판도대로면 미국은 한국이 제공한 자본력으로 만든 자동차와 선박 그리고 반도체를 한국에 역수출 할 수 있게 되거나, 한국 브랜드를 부착한 저가품을 전 세계에 뿌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.

미국으로서는 원금을 돌려줄 의무가 없는 투자금이기 때문에 삼성과 현대 공장에서 나온 제품으로 수출이 되면 그만인 거지, 그 수익을 신경쓸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. 즉, 미국은 미국 밖으로 나간 달러를 회수하는 게 목적이란 뜻이다. 다시 말해, 3,500억 달러 묻지마 대미 투자로 인해 현대 삼성 등의 국내 공장은 고사하게 되는 게 미국 투자의 본질일 수 있다.

2. 단순 가격 비교의 함정

벤츠와 제네시스의 단순 가격 비교는 소비자가 실제로 고려하는 브랜드 가치·품질·A/S·감가율 같은 요소를 배제한다. 관세가 소비자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브랜드 포지셔닝과 시장 전략에 따라 달라진다. 미국 소비자들이 제네시스와 벤츠에 어떤 가치를 부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 설명도 없이, 제네시스를 저가에 판매할 수 없다는 것에만 집중된 통계 자료는 쓸모 없는 내용이다.

3. 원가 구조와 임금, 배당 등 내부 비용 항목

가격 경쟁력의 큰 부분은 임금·원자재·투자 비용에 의해 결정된다. 예를 들어, 현대차의 평균 임금은 이미 높은 수준이며(2025년 기준 약 1억 원 수준으로 보도됨), 신입 연봉도 각종 수당을 합하면 5천만 원대에서 1억 원에 근접한다는 보도가 있다. 그렇다고 노조 임금만을 문제 삼는 것은 아니다. 경영진의 배당, 투자 우선순위, R&D 지출 등도 함께 공개돼야 한다. 만약 현대차 신입 사원 연봉 1억 원을 유지시켜야 하는 게 국책 과제라면 3,500달러 대미 투자는 필요하다는 뜻이다.

주의: 임금·배당·이익 분배 구조는 기업 공개자료, 감사보고서, 협력업체 자료 등을 통해 검증되어야 한다. 단편적 데이터로 결론을 내리면 안 된다. 결국 이 분석에만도 몇 달이 소요될 수 있다.

4. 국부(國富)와 실제 국내 기여도

언론은 종종 수출액을 곧바로 '국부 창출'로 연결하지만, 실제로는 배당·이자·수익의 상당 부분이 해외 투자자에게 귀속된다. 또한 해외 생산 비중이 높을수록 국내 고용·부가가치 기여도는 제한적이다. 따라서 '수출 = 국부'라는 단순한 등식은 이제 성립하지 않는다. 3,500억 달러를 투자해서 얻은 현대차 수익의 50%가 외국에 넘어가는 것이라면, 역시 바보 투자가 아닐 수 없다.

만약 그래도 협력업체 등의 국내 공장을 일부 돌릴 수 있다는 것이 위안이라면, 그 대가로 3,500억 달러는 지나치지 않을까?
그런 식의 계산이라면, 미국에 주는 주둔비를 북한에 투자하는 조건으로 미군을 내보내는 게 월등한 국익이다. 왜 이런 계산은 하지 않는가 말이다.

5. 정치·외교적 맥락의 배제

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통상적·외교적 협상 수단이다. 이 점을 분리해 보도하면 관세가 마치 순수한 경제 문제인 양 왜곡될 수 있다. 언론은 관세 조치의 국제정치적 배경과 한·미 협상의 맥락을 함께 전달해야 한다. 또, 현재 미국이 요구하는 투자의 성격이 한국 대표 산업의 중복 투자로 인한 과잉생산으로 이어져, 국내 산업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함께 보도해야 한다.

대안적 기사(언론이 보여줘야 할 구성)

진실에 가까운 보도는 다음 항목을 포함해야 한다. 아래는 보도의 틀(순서) 예시다.

  1. 정확한 제목: "현대차의 가격 경쟁력이 흔들리고 있습니다" — 주체를 명확히 한다.
  2. 글로벌 지배구조 개요: 외국인 지분율, 해외 생산 비중, 주요 해외 공장 위치와 규모 표기.
  3. 원가·수익 구조 도표: 차량 한 대당 매출, 원가, 순이익, 인건비·배당·세금·R&D 비용의 비중 표기.
  4. 임금 구조 공개: 직군별·직급별 평균 연봉, 신입 연봉, 성과급·복지비 항목.
  5. 국내 기여도 분석: 부품 공급망(협력사)·고용·지역경제 기여도 계산.
  6. 정치·외교 맥락: 관세 협상의 국제 정치적 배경과 한국의 협상력 분석.
  7. 대안과 질문: 현대차의 자구책(임금·배당·가격 책정 조정 가능성), 정부의 보조 기준, 소비자 보호 방안 등.

최종 진단

관세 논쟁을 다루는 언론의 현재 태도는 문제의 핵심을 가리고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압박 논리를 재생산하는 데 그친다. 진짜 필요한 것은 단편적 가격 비교가 아니다. 이러한 가격 비교 단면 보도는 기사 생산자가 미국인으로서 트럼프에 동조하는 성향을 가진 이였을 때다. 지금처럼 현대차를 예로 들 것이라면, 현대차 내부의 원가·임금·배당·해외 생산 비중을 투명하게 공개하고,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세 완화 여부와 보조금 정당성을 따져야 한다.

지금의 보도 행태는 '현대차 노조로부터 로비를 받아 기사를 만드는 것 아닌가'라는 의심을 부를 정도로 편향되어 있다. 언론은 스스로의 역할을 다시 생각하고, 공정하고 검증 가능한 보도를 해야 한다. 또한 3,500억 달러 묻지마 미국 투자가 국내 산업의 붕괴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전면에 내세우는 것은 보도의 기본이다.

그들이 한국인의 입장에서 트럼프 관세를 보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면 말이다.